[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마을회관을 짓는다며 사들인 그린벨트 부지를 외지인에게 되팔아 차익을 챙긴 뒤, 지목 변경 및 창고 건물 신축을 도와준 마을이장 등이 물의를 빚고 있다. 또 이 과정에서 준공 등의 인허가 과정을 관리 감독해야 할 시청 공무원들이 사실상 묵인 내지는 방조를 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사정 당국의 수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4리마을회는 낡은 마을회관 교체 및 신축을 위해 지난 2013년 10월 마을 이중자금(두레 형식의 마을 공동 자금)으로 월문리 317-38번지(110평, 1억1000만원)를 매입했으나 예정 부지 앞에 도로가 나는 등 이런저런 이유로 신축이 지지부진됐다. 이렇게 8년이 지난 2021년 4월경 외지인 A씨와 마을 이장 등은 마을회관추진위원회를 만들고 월문4리에 전입 신고를 마친 A씨를 월문4리마을회 대표자로 지정한다. 이후 A씨는 6월부터 1억1천만원에 매입했던 마을회관 부지를 2억8천여 만원에 재매입을 한 뒤, 일사천리로 명목상 마을회관인 창고 신축에 속도를 내게 된다. A씨와 마을 이장 등은 6월 25일 그린벨트 마을회관 부지를 밭에서 대지로 지목 변경을 한 뒤, 불과 14일 만인 7월 8일에 창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화성시가 에리셀 참사 분향소를 오는 31일까지만 운영하고 폐쇄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가운데, 민주노총, 아리셀참사대책위원회,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등이 25일 오전 화성시청에서 농성을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 예방을 위해 경찰 10여명이 출동했으며, 정명근 화성시장의 순발력으로 사태는 더 악화되지 않았다. 현재 유가족들은 '사측과 합의가 끝날 때까지 숙박 지원을 연장해달라'고 요구하는 반면, 화성시는 '숙박 지원은 오는 31일까지만 한다'는 기존 계획을 고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들 피해자 단체는 사측과의 합의가 완료될 때까지 유가족에 대한 숙박 지원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사측이 문제 해결을 위한 교섭을 회피하고 있다. 화성시가 피해자들과의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지원을 연장해야 한다. 특히, 이주 노동자 유가족은 대부분 중국인으로, 한국에서의 물가와 생활 비용 문제를 고려해 지원 연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기존 7일이었던 숙식 지원을 31일까지 연장한 만큼, 변동 없이 기존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를 지켜보던 정모(여. 52. 남양)씨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