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화성시가 인공지능(AI)과 민생경제, 통합돌봄을 3대 핵심 분야로 삼고 새 정부 국정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계사업을 추진한다.
20일 시에 따르면 지난 8월부터 국정과제 대응 TF를 가동해 정부 123대 국정과제 중 시와 연관된 분야를 중심으로 총 83개의 연계 사업을 발굴했으며, 이를 2026년 본예산안과 추경예산안에 반영했다.
현재 시는 83개 사업 중 60개를 내년 본예산안에 2천88억 원 규모로 반영했으며 12개 비예산 사업과 함께 추진한다.
나머지 7개 사업은 내년도 추경예산안에 반영할 예정이며 4건은 정부 건의를 통해 추진한다.
AI 분야 핵심사업으로는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 도시 구축과 AI 혁신학교 신설이다.
화성 자율주행리빙랩센터를 거점으로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구현을 위한 실증도시 구축에 집중하는 한편 공직자와 시민 대상 맞춤형 AI 리터러시 교육으로 미래 인재를 양성한다.
또한 민생경제 분야로는 ‘희망화성 지역화폐’ 1조 원 발행을 목표로 지역화폐를 확대해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고, 수출 중소기업 물류비 지원 증대로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 흔들림 없는 경제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통합돌봄 분야로는 기존의 노인과 장애인 중심의 돌봄 체계를 넘어 일상생활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통합 돌봄을 제공하는 화성시 바로이웃 통합 돌봄을 추진한다.
아울러 시의 특성에 맞춰 자살예방센터를 도시형과 농촌형 센터로 운영해 권역별 맞춤형 자살예방과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모델’ 자살예방센터 도약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정명근 시장은 “AI, 민생경제, 통합돌봄을 핵심으로 한 국정과제 연계사업 발굴을 넘어 적극적인 실천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완성하겠다”며 “시민의 삶에 실질적 변화를 이끄는 정책을 통해 더 나은 화성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