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전북도, 오염물질 배출하는 가스열펌프, 저감장치 부착 지원

올해 신규사업 136대 우선지원, 2024년까지 부착 확대

 

(정도일보) 전북도가 도심 내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가스열펌프(GHP) 운영사업장을 대상으로 배출가스 저감장치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가스열펌프(GHP)는 전기 대신 도시가스사용 엔진을 이용해 냉동사이클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냉·난방기로, 하절기 전력피크 완화 대책에 따라 2011년부터 보급된 바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대형건물의 냉·난방기 사용이 급증하는 가운데 가스열펌프 가동 시 질소산화물, 총탄화수소 등 대기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됨에 따라 해당 시설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지난해 6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가스열펌프가 대기배출시설로 신규 편입됐다.

 

다만, 가스열펌프에 인증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부착할 경우 대기배출시설에서 제외되며, 법 시행일(2023.1.1.) 이전에 설치·운영중인 가스열펌프는 저공해 조치 준비기간을 고려하여 2년간 유예를 두어 2024년 말까지 저감장치를 부착하면 된다.

 

이번 지원사업은 ’23.1.1일 이전 가스열펌프를 설치·운영중인 민간 및 공공시설이 대상이며, 총 4억7천6백만원의 예산을 투자해 136대의 저감장치 부착 비용 90%를 지원한다. 특히, 교회, 호텔, 대형공장 등의 사업장 조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민간시설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금액은 가스열펌프 엔진 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당 약 240만원에서 330만원이다. 도는 저감장치 부착 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90% 정도 감소 효과가 있음에 따라 도내 미세먼지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절차, 구비서류 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군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가스열펌프 모델에 따라 저감장치 부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운영자는 해당 지자체에 문의 후 신청하면 된다.

 

아울러, 전북도는 2024년까지 도내 운영중인 가스열펌프 전체를 대상으로 저감장치 부착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연식이 오래돼 저감장치 성능유지가 어렵거나 저감장치 부착이 불가한 경우는 가스열펌프를 교체할 수 있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강해원 전북도 환경녹지국장은“이번 지원 사업을 통해 가스열펌프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대기오염물질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시설 운영자의 경제적 부담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며,“대기질 개선과 도민 건강을 위하여 민간 시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