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노후 행복·활기 '듬뿍'…고양시, '일자리·건강·돌봄' 노인복지 강화

올 8월 기준 노인 인구 19만2887명…'고령자 생산지표' 기반 노인 일자리 혁신 포럼 개최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고양특례시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노인 지원 정책을 지속적이고 체감 가능한 방식으로 강화하고 있다.

 

시는 1일 '고령자 생산지표'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노인일자리 창출 방안을 논의하는 '고령자 일자리 혁신 포럼'을 23일 연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전문가, 실무자, 시민들이 함께 참여해 일자리 개발을 위한 정책과 실천적 아이디어를 논의할 방침이다.

 

시는 민선8기 공약으로 고령자 생산지표 개발과 맞춤형 건강관리, AI 돌봄 강화를 추진해 오고 있다. 특히, 2023년 12월 전국 최초 개발된 '고양형 고령자 생산지표'는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고, 고령자의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과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둔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고령자 생산지표는 고용(29개)과 역량·교육(17개) 등 총 46개 영역으로 구성돼 고령자의 생산활동과 역량에 관한 현황·욕구·정책·사회문화적 특성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2024년에 '고령자 생산지표 적용 및 생산활동 강화 방안'과 '고령자 고용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연구해 지표를 구체화하고, 시 차원의 고용 활성화 방안을 도출한 바 있다. 또한, 지난 9월 '고양시 고령자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연구를 마무리했다.

 

이동환 시장은 "초고령사회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 노인 정책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다"며 "어르신들이 행복한 일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으로 촘촘한 복지를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관내 노인인구는 총인구 대비 18.2%인 19만2887명으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