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용인특례시가 사물인터넷 센서를 연계한 재난 대응 통합 관제 체계를 구축했다. [사진=용인특례시]](http://www.jungdoilbo.com/data/photos/20250937/art_17578007837359_8e032e.png?iqs=0.4861501081075753)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용인특례시는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센서와 폐쇄회로(CC)TV를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에 연계한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시가 구축한 통합 관제 체계는 급경사지와 지하차도, 수위계, 강우계 등 부서별로 관리됐던 107대의 재난 IoT 센서와 CCTV를 스마트시티 플랫폼과 연계했다.
또, 공공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저수지 수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재난 대응과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일부 재난 부서에서만 활용했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용 권한을 읍·면·동 등 현장재난부서 담당자로 확대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문자 알림 기능을 추가해 시스템 활용성을 높였다.
![용인특례시가 사물인터넷 센서를 연계한 재난 대응 통합 관제 체계를 구축했다. [사진=용인특례시]](http://www.jungdoilbo.com/data/photos/20250937/art_17578008997114_72feeb.png?iqs=0.08245436934788286)
이상일 시장은 “그동안 부서별로 개별 운영하던 재난 IoT 시스템을 통합해 재난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며 “첨단 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더 잘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지난 2019년 구축됐다. 방범, 재난, 교통정보, 불법 주정차 단속 등 1만 2301대의 CCTV를 연결해 도시 전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 경찰, 소방, 군부대, 행정안전부 등 관계 기관과 영상정보를 공유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공조 체계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