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청 전경. [사진=화성시]](http://www.jungdoilbo.com/data/photos/20250835/art_1756331019159_08b09f.jpg?iqs=0.4106820495048954)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화성시는 2026년 2월 출범 예정인 4개 일반구 설치에 발맞춰 위생·문화콘텐츠·체육분야 주요 행정사무를 구청으로 대폭 이관한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위생 인허가 업무가 대거 구청으로 분산해 시민 행정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구체적으로는 ▲식품·공중위생업소(2만3278개) 인허가 ▲이·미용사 및 조리사 면허관리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등을 구청으로 이관한다. 시청은 탄소중립 계획 수립 등 중장기 전략을 세우는 기능을 담당하고 구청은 지역 특성에 맞춘 실행 중심 행정을 맡아 정책수립과 업무실행 등 기능 분담을 명확히 한다.
영화·게임·음악·출판 등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 걸친 인허가·변경·폐업 등 민원처리 권한을 구청으로 이관한다.
특히 노래연습장업, 비디오물감상실업, 인터넷게임시설제공업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업종에 대한 민원이 구청에서 처리되면서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불편이 크게 줄어들고 업장의 지도 감독도 용이해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신고체육시설업(1481개) 인허가 및 안전점검 ▲야외체육시설 운영 및 유지보수 ▲생활체육 프로그램과 각종 체육행사 운영 권한 등이다.
화성시는 업무 이관으로 시민들은 구청에서 체육시설 관련 민원, 안전점검 요청, 프로그램 참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장 대응 속도와 만족도 역시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이번 구청 기능 확대는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생활행정 실현의 시작"이라며 "단순한 권한 이관을 넘어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행정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