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김동연 "경제 불확실성 해소" 환영

피해 예상 수출 중소기업에 '특혜보증 한도 확대' 등 지원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경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환영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도청 5층 서희홀에서 '한미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 회의'를 소집해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은 바로 불확실성이다. 이번 협상에서 그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3가지 이유를 들며 관세협상 타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첫째,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겠다는 목표를 이뤄냈다. 둘째, 시한 내 협상 결과 도출하면서 시장에 안정감을 줬다. 셋째, 쌀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정상회담을 이끌어낸 것도 환영할 결과다. 이번 관세협상으로 윤석열 정부 역주행을 넘어 정상화됐다는 신호로 생각한다. 윤석열 정부의 불법 계엄과 비정상 외교를 깨끗이 씻어내는 계기가 되리라고 확신한다"고도 했다.

또 "한미동맹은 안보동맹을 넘어 혁신동맹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가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하게 되는데, 이 투자는 AI, 반도체, 항공우주, 바이오, 조선 등 첨단산업에 있어 한미 간 기술·사람·시장 교류 확대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관세 부과로 어려운 업종에 대해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며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책도 내놨다.

그는 "도내 자동차 부품 업체와 K-뷰티, K-식품 등 수출 중소기업에 피해 예상된다.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안정 지원 확대, 수출 기업의 특례보증한도 확대 등 특별 금융 프로그램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도는 중소기업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바우처'를 신설하고 피해 업종이 집중된 지역에는 지역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지원 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피해 규모가 커질 경우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제품 고부가가치와 AI 전환 구조조정 등 산업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대외적으로는 미중 중심의 수출 기조를 탈피해 신남방, 인도, 남미를 비롯한 신흥시장 확대 등 다양화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여야와 보수, 진보를 떠나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와 국익 외교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제까지 그랬듯 앞으로도 경기도는 국정 제1동반자로서 최선을 다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