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中企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탄소규제 대응 지원

경기FTA센터, KTL·참여기업과 3자 업무협약…20개사 컨설팅 착수
탄소국경세 대응 교육·설명회, 사전진단 프로그램 병행 추진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경기도와 경기지역FTA통상진흥센터(이하 경기FTA센터)가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도내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2025 탄소국경세 대응 탄소배출량 산정 지원 컨설팅’을 추진한다.

 

’26년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두고 탄소배출량 관리 및 정보 공개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국내 중소기업 대다수는 전문 인력 부족과 진단·컨설팅 비용 부담으로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경기FTA센터는 지난 4일 컨설팅 수행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지원사업에 선정된 경기도 중소기업 20개사와 3자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4월부터 컨설팅을 한다.

 

올해 컨설팅은 지원 규모와 범위를 확대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도는 지원 대상 기업 수를 작년 대비 10개에서 20개로 두 배 늘리는 한편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뿐 아니라 바이어의 탄소 배출량 보고 요구 등 증가하는 시장 요구에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박경서 경기도 국제통상과장은 “복잡해지는 환경 규제 앞에서 기업들이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돕는 것이 경기도의 역할”이라며 “경기도와 경기FTA센터는 기업들이 실질적인 탄소 관리 역량과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와 경기FTA센터는 컨설팅 뿐만 아니라 ▲탄소국경세 대응 교육·설명회(350개사) ▲탄소중립 대응 사전진단 서비스(30개사)도 병행 지원한다. 교육·설명회의 경우 작년 대비 실습 비중을 높여 기업 실무자가 현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에 어려움을 겪거나 정보가 부족한 기업을 직접 방문해 제도 안내 및 기초 진단을 제공하는 사전진단 서비스도 무료로 연중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