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회 심오섭 도의원, 강원특별자치도 비지정 문화유산 연구ㆍ기록ㆍ발굴 정책 필요성 강조

 

(정도일보) 강원특별자치도 비지정 문화유산의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심오섭도의원(국민의힘, 강릉2)은 12일 제335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비지정 문화유산 연구ㆍ기록ㆍ발굴 정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심 의원은 강원도의회 연구모임인 ‘강원문화유산 콘텐츠 발굴 연구회’가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강원민속예술축제 출연작품 345개 중 비지정 무형유산 55개를 조사한 '강원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속초 아리랑', '태백 아라레이', '횡성 어러리' 등 3개 종목이 지난해 강원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으며, '속초 돈돌라리', '평창 메밀농경과 음식문화', '삼척 땅설법' 등은 국가유산청의 미래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되는 성과를 올렸다.

 

심 의원은 "인제, 영월, 정선군에도 뗏목 관련 다수의 무형유산이 존재하지만, 여전히 조사되지 않은 유산들이 많다"며 "우리나라가 한강, 두만강, 낙동강 등 주요 강에서 수백 년간 뗏목 문화를 이어온 만큼 강원도는 한국 뗏목 문화의 중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2022년 체코 등 유럽 6개국이 강원도의 전통 '뗏목 타기' 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사실을 언급하며, 강원도가 이를 놓친 데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다.

 

심 의원은 "우리 주변에서 하찮게 여겨졌던 비지정 무형유산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이제라도 비지정 무형유산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확대하고, 이를 국가 및 도지정 유산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심 의원은 "비지정 무형유산 55개 중 3개가 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만큼, 나머지 52개에 대한 추가 연구와 발굴이 시급하다"며, 소멸 위기에 처한 비지정 무형유산 보호를 위해 '비지정 무형유산 육성 사업' 추진을 제안했다.

 

끝으로 심 의원은 "유럽의 사례에서 보듯, 무형유산의 가치는 관심과 개발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며, "비지정 문화유산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정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