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기고] 60년 전 오늘을 기억합니다

인천보훈지청 보훈과 한준경

[기고/인천보훈지청 보훈과 한준경]올해는 4․19혁명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4․19혁명은 이승만 독재정권과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시민들이 떨쳐 일어난 사건입니다. 우리 헌법 전문에는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 라고 하여, 주권자로서 깨어 일어나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시민들의 민주의식이 오늘 날 우리 사회를 있게 한 밑바탕이 되었음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1948년부터 1960년까지 발췌개헌, 사사오입 개헌 등 불법적 개헌으로 12년 동안 장기 집권한 이승만 정권이 1960년 3월 15일 제4대 정․부통령 선거에서 반공개 투표, 투표함 바꿔치기, 득표수 조작 등의 부정선거를 자행하였습니다.

 

이에 분노한 마산의 시민․학생들이 격렬한 시위를 벌였고 정부에서는 총격을 가하며 강제진압에 나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4월 11일에 마산시위에서 실종되었던 고등학생 김주열 군이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시체로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었고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2차 시위에 나섰습니다. 이후 4월 18일 서울에서 고려대 학생들이 국회의사당까지 진출하는 시위를 벌이고 학교로 돌아가던 중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일부 학생들이 큰 부상을 입었습니다.

 

일련의 사건에 크게 분노한 전국의 시민 수십만명이 4월 19일에 ‘이승만 하야, 독재정권 타도’를 외치며 총궐기하였고 이승만 정권은 무력으로 이를 탄압하고 비상계엄령을 선포하여, 19일 하루동안 130여명이 사망하고 6,000여명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무력탄압에도 불구하고 4월 26일 대규모의 군중이 서울 시내를 가득 메우며 완강히 투쟁하였고, 결국 이승만은 대통령직에서 하야하였습니다.

 

1960년 당시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은 6․25 휴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끼니를 걱정해야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그런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일어나 민주주의를 수호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일입니다. 우리 민중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 얼마나 컸는지, 일제 강점기 벌였던 3․1운동과 같은 자발적인 독립투쟁이 우리에게 어떤 경험으로 남아 후대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4․19 당시와 비교하면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변화가 가능했던 것은 정치적 주권자로서,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주체로서 뚜렷한 자의식을 가지고 한명 한명이 노력한 덕분입니다. 4․19혁명 제60주년을 맞이하며 우리 사회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해 떨쳐 일어난 분들에게 감사하며, 그분들의 민주의식을 공유하고 희생과 공헌을 기억하는 하루를 보냈으면 합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