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경기도 경제부지사 고영인은 백경현 구리시장이 여전히 ‘구리시 서울편입과 GH 구리이전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경기도의 입장을 밝혔다.
고 부지사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지시에 따라, 구리시의 서울편입 추진과 관련해 GH의 구리 이전 계획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구리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 GH 구리 이전과 관련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경기북부의 성장 잠재력을 최대화하고, 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경기북부로의 공공기관 이전을 약속한 바 있다.
구리시는 2021년 공모에서 10개 시군을 물리치고 경기주택도시공사(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됐다. 당시 구리시는 1만 명 이상의 유치 서명과 20만 구리시민의 염원을 배경으로 GH 이전을 추진했다. GH의 구리 이전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약 80억 원의 지방소득세 증대 효과를 기대하게 했다.
그러나 백경현 구리시장이 GH 구리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주장은 경기도 측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이다. 고 부지사는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로 갈 이유가 없다”면서 백 시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경기도는 GH 구리 이전을 통해 침체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원동력으로 삼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백 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은 공공기관 이전을 위한 조건을 근본적으로 저해하는 요소라는 점에서, 경기도는 계획을 백지화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고 부지사는 백경현 구리시장에게 “GH 이전과 서울편입 동시 추진이 진정 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오세훈 서울시장에게도 질문을 던졌다. 오 시장은 지난해 총선에서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주장했으나, 최근 토론회에서는 지방분권을 골자로 하는 개헌을 주장했다. 고 부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방분권에 역행하는 구리/김포 서울편입 주장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분권을 통한 자립적 발전을 지향하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준비해 왔다”며, “백경현 시장은 구리시민을 기만하고 시민 간 갈등을 부추기는 정치적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구리시장이 서울편입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면, GH 구리 이전은 완전히 백지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